금호크레인 홈페이지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총 게시물 28,296건, 최근 0 건
   

president editorial-full text (2)

글쓴이 : 날짜 : 2019-05-07 (화) 18:30 조회 : 24
>

Full text of President Moon Jae-in's op-ed for the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SEOUL, May 7 (Yonhap) -- The following is the second part of an unofficial translation of President Moon Jae-in's op-ed that will be published later this month in the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FAZ) and was released by his office Cheong Wa Dae on Tuesday.

4. Peace for the Ordinary

There is a saying in East Asia that goes "Heroes emerge in turbulent times." During turbulent times, however, common folk are unable to make it through life on their own. Heroes may be born, but the common folk fall into misfortune.

The chapter on the Biographies of Sun Zi and Wu Qi (孫子吳起列傳) in the Chinese classic Shiji (史記)³ includes the following passage: "Someone said, 'Your son is a foot-soldier, yet the general, with his own mouth, sucked his abscess clean. What makes you wail?'" (人曰 子卒也 而將軍自吮其疽 何哭爲) The mother cried because she knew her son was moved by what the general had done, and she feared that her son would fight to the death on the battlefield for his commander. The Shiji goes on to say that that woman's husband experienced identical care from this same general, then went on to fight resolutely and die in combat.

Sima Qian, the author of the Shiji, wrote the chapter to describe the extraordinary leadership of General Wu Qi, but hidden inside the passage is the miserable plight of the widow who had lost her husband in battle. Woven into the heroic tales that we enjoy are also the tragedies of ordinary people who are deprived of the chance to form their own destiny.

The history of the division of the Korea Peninsula is also stained with the tears and blood of ordinary people. Division has bred antagonism in individuals' lives and thinking. Division has also been used as the means to protect vested interests, bury political opposition, and enable privilege and deceit. Common folk, during the "turbulent times" of national division, were unable to determine their own destinies. Their freedoms of thought, expression and conscience were suppressed. They took self-censorship for granted and became accustomed to improprieties.

The desire to change this longstanding and contradictory situation is one of the reasons that Koreans carried lit candles. They wanted to usher in peace by upholding democracy. Korea would have been unable to take strides toward peace if the candles had not illuminated the way toward peace. The true hero of the Candlelight Revolution is the powerful solidarity of ordinary people. We need to change the East Asian adage "Heroes emerge in turbulent times" to "The power of the ordinary prevails in turbulent times."

I believe that human history is a process of change, just like the seasons. The Iron Curtai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Grünes Band, a greenbelt that runs north and south through the heart of Europe. In the same way, I expect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stop at the Demilitarized Zone, running east to west between the two Koreas, but will spread beyond the Korean Peninsula to Northeast Asia and even as far as Europe. Our goal is to fundamentally dissolve the Cold War structure of conflict, division and strife that has gripped the Korean Peninsula for so long and to replace it with a new order based on peace and coexistence, as well as on cooperation and prosperity. In Korea this ambitious process has been dubbed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signifies a great geopolitical transition for the area. Geopolitically, the Korean Peninsula has long been a fault line where continental and maritime powers have collided. The situation is like the Balkan Peninsula in Europe, and for this reason Korea has suffered from frequent war historically. Notably,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north and south by the DMZ,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cut off from the mainland and has led an "island-like" existence.

The creation of a new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means the establishment of a land bridge that connects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continent. I met with Chairman Kim Jong-un of North Korea at Panmunjom in April 2018. This was a historic moment, as it was the first time that North Korea's top leader set foot on South Korean soil since the Korean War. We promised to stop military hostilities between our two sides.

As a first step in this direction, some of the guard posts were taken down on both sides of the DMZ, and some landmines were removed near the DMZ. Roads connecting the two Koreas across the DMZ were opened, and thirteen sets of war dead remains were unearthed and returned to their respective homelands. In November, troops from the North and South who were involved in these various operations unexpectedly encountered one another on Arrowhead Hill, the site of the last hard-fought battle of the Korean War. They spontaneously lowered their weapons and shook hands – spring had finally returned to the DMZ, 65 years after the armistice was signed.

The onset of the spring 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in Berlin. Following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who made his Berlin Declaration in 2000, I came to Berlin in July 2017 to talk again about a new peace initiative that reflected the passion of the Candlelight Revolution. At the time, many dismissed this as simply being wishful thinking. The winter on the Korean Peninsula seemed unlikely to retreat, and North Korea added to the crisis by conducting a series of nuclear tests and missile launches. Other nations responded by steadily strengthening their sanctions. Tensions mounted and rumors that armed confrontation was imminent in April and September of 2017 circulated. The Korean people were worried that an actual war would break out.

I agreed with former Chancellor Willy Brandt when he said, "Small steps are better than no steps at all." If something is not started, then the people's longings cannot be realized. A quote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also came to mind: "Dream no small dreams, for they have no power to move the hearts of men." If we hoped to break through the harsh winter and allow sprouts to come forth in spring, we had to discuss the greater dream of a denuclearized Korean Peninsula and permanent peace. It had to be a great dream that could be realized together with the people.

During his New Year's message in January 2018, the North Korean leader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responding to the great dream of the South Korean people. The North then communicated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and even those in Europe sent words of support and encouragement to the thaw on the Korean Peninsula. The people in Korea rallied around the desire to make the PyeongChang Olympics the "Peace Olympics."

When I made my Berlin Declaration, I made four propositions, suggesting to North Korea that "we first start with what is easy." These were: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PyeongChang Olympics, reunions among members of separated families, cessation of hostile actions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nd resumption of inter-Korean dialogue and contacts. Perhaps surprisingly, all four of these proposals have happened during the past two years. Last February, the entire world watched as the group of athletes from both Koreas marched together, behind the Unified Peninsula Flag, in the opening ceremony to the PyeongChang Olympics. Meetings of separated family members resumed, and a new system was established that permits video reunions any time. Most importantly, the sounds of gunfire have disappeared in the air, on the sea and on the grou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e opened a liaison office in Kaesong, providing a venue for regular dialogue between the two sides. In this way, spring is just around on the Korean Peninsula.

I have long regretted that my fellow Koreans no longer think about the space beyond the truce line. Should the two Koreas reconcile with each other, lay railroads to connect the two sides, allow goods to be transported and allow people to go back and forth, then the Republic of Korea will no longer be an island. Rather, the Peninsula will become a bridgehead from the sea to the Asian Continent, and a gateway from the mainland to the sea. Expanding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also signifies liberation from ideology. The scope of the people's imaginations, living domains, and thinking will also expand greatly, healing the painful wounds from the division that we've had to endure for so long.

From now on, the North-South issue should not be misused for ideological or political purposes; rather, it must be expanded into an issue of life and existence for ordinary people. The North and South represent a community of life in which coexistence is a must. Blights from harmful insects and wildfires could spread to both sides even when people are not allowed to pass. An invisible borderline on the sea threatens fishing rights or can impact the fates of the fishermen who violate the national border unintentionally. Permanent peace is precisely the way to make everything right. This is peace for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beyond political and diplomatic peace.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means switching from the passive Cold War order to an active order in the pursuit of peace. In the past,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prevented the Korean people from determining their own destinies. Today, however, we aim to develop our own way forward. This empowers the common people to take charge of his or her own fate.

The current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is deeply linked to the "Cold War structure" implanted in the region at the end of World War II. In the process of settling post-war matters, the decision was made to divide the Korean Peninsula into two sides against the wishes of the Korean people, who soon were forced to suffer a tragic war. At this time, a trilateral structure involving the ROK,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e South and an opposing trilateral structure involving the DPRK, China and Russia in the North were implicitly put into place.

This Cold War structure entered into a period of détente in the 1970s, followed by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s adoption of a market economy in the 1990s. As such, the confrontation was resolved to a significant degree, but the Cold War situation remained un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wo Koreas remain divided, and North Korea does not have n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either the United States or Japan. Amid this backdrop, the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Pyongyang Joint Declaration in 2018 were pronouncements of an end to the hostilities between the two sides, marking the first step in the settlement of permanent peace. At the same time, dialogue continues regarding the normalization of tie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ongside the denuclearization issue. If the North Korea-U.S. dialogue results in complete denuclear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U.S. diplomatic relations, and i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is replaced with a formal peace treaty, the old Cold War order will collapse and a new order of peace will start to reign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 is also the foundation for advancing as a nation in which everyone can prosper together.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means a peace-driven economy. Peace linked to economic progress creates a peace-strengthening virtuous cycle. We are pondering the way for both Koreas to prosper in the interest of establishing permanent peace. We have already started work on reconnecting road and rail links between the two Koreas. ROK engineers have inspected the state of North Korean railroads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Peninsula was divided, and groundbreaking ceremonies have been held for the road and rail reconnection projects.

The vitalization of inter-Korean economic exchanges will link surrounding countries and go beyond the Korean Peninsula to reestablish an economic corridor between East Asia and Eurasia. The two Koreas and Russia have begun working-level discussions on a natural gas pipeline running from Russia and across North Korea to South Korea. Last August, I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n East Asian Railroad Community, involving six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the United States. I am calling for the East Asian Railroad Community to be modeled after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It will then lead to the creation of East Asian energy and economic communities and could ultimately be developed into a multilateral peace and security regime in Northeast Asia.

The New Southern Policy and New Northern Policy being promoted by the Republic of Korea will further expand the peace-driven economy on the Korean Peninsula. The New Northern Policy will spur economic cooperation with Eurasia. Last June, North Korea, for the first time, consented to South Korea joining the Organization for Cooperation of Railways, the international rail transport organization with all Eurasian countries taking part. The day will come when people and goods can move by rail from Busan all the way to Berlin. The Republic of Korea, building on inter-Korean rapprochement, will be a facilitator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New Southern Policy seeks new forms of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ASEAN and Southwest Asia. The Republic of Korea considers a community of people, peace and prosperity to be a core value and will bolster exchanges of people and good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e are seeking the way to realize Asia's potential together and achieve mutual prosperity.

Koreans have demonstrated that the greatest power to change the world lies in the voluntary actions of ordinary people. This power will bring down the last vestiges of the Cold War and be the impetus for proactively ushering in the New Korean Peninsula Regime. Importantly, it prevents ordinary people from suffering misfortune unrelated to his or her own volition. The achievement of peace, too, ultimately begins with the will of ordinary citizens, and I hope that the completion of this undertaking can be shown to the world.

5. Heading for an Inclusive World Order

After the Second World War, Europe was also swept into the epicenter of the Cold War. Individual national governments sought new alliance strategies. Germany, divided by the Cold War, made bold strides toward peace, and led the change of Europe in the process.

The 450,000 Berlin citizens who were involuntarily separated overnight because of the sudden erection of the Berlin Wall yearned for reunification and peace, venting their feelings by assembling in front of Brandenburg Gate, in West Berlin, in June 1963. That year, Mayor Willy Brandt offered to open negotiations for a border pass agreement, allowing West Berliners to visit their relatives in the eastern part of the city during the Christmas season.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the Neue Ostpolitik. Subsequently, the two Germanies began to view one another as partners for cooperation and mutual growth rather than as rivals and blockade targets.

Small prayer services were held every Monday in the East German city of Leipzig from the early 1980s. This modest gathering developed into a series of peace marches, which called for free travel and elections as well as German reunification. The first peace march, held on Oct. 9, 1989, involved 70,000 participants. After just two weeks, the number swelled to 300,000, and the Berlin Wall came down a month later, on Nov. 9.

I believe the European order changed because the ordinary people of Europe took on the task of making peace and aggressively prodded their governments to do the same. The determination and actions of European citizens gave rise to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in 1952, the blueprint for the European Union, and in 1975 served as the impetus for the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which can be seen as the origin of the modern European security order.

As these European examples show, inclusiveness is essential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 world becomes a place where all can prosper together and progress when we are inclusive and guarantee fair opportunities and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transcending national borders and areas of concern. Now, however, free trade advocacy and internationalism that have been the foundation of the post-World War II order have been weakening markedly, while protectionism and national self-centeredness have been creeping to the fore. This international crisis is causing the spirit of inclusiveness and cooperation to disappear. What is urgently needed is the politics of cooperation that emphasizes the responsibilities and norms of individual countries as members of international society.

Again, ordinary people are important. The things that ordinary people can change are not limited to domestic issues. When nations change, the world order can change as well. A new world order can be created when ordinary people consider that everyone has the authority and the responsibility to ru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at the fate of the world is linked to their own fates. When ordinary people transcend the notions of national boundary, race, ideology, and religion, and unite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en the world will also advance sustainably as a place where all can live well together.

An inclusive world is one in which the socially marginalized are not excluded and the majority – provided with reliable welfare benefits – receive compensation for the labor that they deserve and enjoy the fruits of growth. We already know about the achievements that ordinary people have made through inclusiveness in Korea, Europe and other places around the world.

Germany has achieved social cohesion by pursuing a free market economy while offering guarantees against various social risks, including job insecurity, wage disparity, poverty, and post-retirement insecurity. Northern European countries have maintained their nat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by continuously investing in education so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 which comes at a high price tag, does not weaken national competitiveness.

Efforts by certain nations or by the public sector alone cannot tackle climate change and other issues that affect the entire world. Last year,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pproved the 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 degrees Celsius. The report predicts that the lives of 10 million people could be saved by holding global warming to an increase of 1.5 degrees over pre-industrial levels, as opposed to 2 degrees or more. The goal is to have all countries jointly address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through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peration.

Moreover, inclusiveness needs to be embraced worldwide. Asian countries have since 2000 BCE considered conservation of mountain forests and control of waterways as the most important virtue for successful state administration. The spirit of respecting nature is embedded within this concept of mountain and stream management. Landslides were avoided when mountainsides were forested, and damage from floods and droughts were mitigated by allowing water to flow naturally rather than damming it up. The concepts of people and natur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were not considered mutually exclusive, and I believe that this is in line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ought globally now.

Today, however, many nations still consider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o be separate matters. We need the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to be willing to show empathy toward the other. Now is the time when we must exhibit the power of inclusiveness that ordinary people possess and display the wisdom that people and nature should coexist harmoniously for the earth which is not just for us but also for future generations. When that happens, the dream of a new world orde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ill be realized.

Individual nations have to become more inclusive so that disparities among nations can be reduced, and the people of each country ne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think as global citizens. Europe's unity and prosperity, created by ordinary citizens, can make the world a better place by inspiring courage and resolve in the rest of humanity.

6. The Greatness of the Ordinary

The way to a new world order can be found in the things that enable ordinary people to keep on with their lives and the things that let them maintain hope day to day. The people who are not identified in the history books, who are described in common noun terms such as laborers, woodcutters, shopkeepers, and students – each and every one of them should be addressed by their own names. Nations and even the world start from the "self." We must recognize and value the fact that the world is made up of the ordinariness that does the work, dreams the dreams, and maintains life day by day.

To this end, the lives of individuals must be respected. Of course, the individual must understand how much his or her own life is worth, but that value needs to be reassessed historically and culturally as well. We should discuss and record the impact that individual actions can have on the surroundings as well as the kinds of effects that ensue when certain actions become widespread.

Turning ordinariness into greatness requires justice and fairness, not just freedom and equality. Stories told in every culture remind us of a generally held truth: good behavior is to be praised, and bad behavior is to be condemned. In East Asia, this sentiment is summed up as gwonseon jingak (勸善懲惡 promote the good and chastise evil). This simple and clear truth represents the beginning of justice and fairness. We continue to live in an era of unbridled competition, but justice and fairness must be applied universally in the order of things.

Ordinary people can grow as global citizens only when justice and fairness prevail. Everything may still appear to be in progress, yet the solution for a new world order exists in the already trodden path humanity has been on. An ancient classic in East Asia states, "When the granaries are full, (the people) understand propriety and moderation; when food and clothing are adequate, they understand honor and disgrace (食廩實而知禮節, 衣食足而知榮辱)⁴." With justice and fairness, the world may share evenly the fruits of growth, which in turn empowers all. Duty springs forth, and responsibility will arise.

Those things that the world considers to be crises now must be resolved in everyday life. The tasks before us can neither be settled by a single country nor carried out on the insight of a single great politician. Assisting those in need, reducing waste, and caring for nature are activities that we need more of. When such behaviors are limited to an individual, one may ask doubtingly, "What good will it do?" However, when these small actions accumulate, the overall flow can change greatly.

Ultimately, the world can change slowly but surely by peaceful means as we protect the world and share what we have with one another. As with the everyday lives of ordinary people, Goethe's quote "Haste not! Rest not!" rings true.

--------------------------------------------------------

3 The Shiji (史記 Historian's Records) was written by Sima Qian (司馬遷) between 109 and 91 BCE. The text of more than 526,500 words is organized into 130 volumes (卷 gwon), which are organized into five different categories: Annals (本紀), in 12 volumes; Treatises (書), in 8 volumes; Tables (表), in 10 volumes; Biographies of the Feudal Houses & Eminent Persons (世家), in 30 volumes; and Biographies & Collective Biographies (列傳), in 70 volumes. The Shiji recounts Chinese history from the time of the legend in high antiquity down to Sima Qian's own time at the end of the 2nd century BCE. The original name was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太史公記) but changed to the present name at the end of the Later Han dynasty.

4 From the "Biographies of Guan [Zhong] & of Yan [Ying]," in the Shiji.

(END)



귀걸이 끝부분을 듯한 언니는 엄두도 평범한 었다. 야마토 게임 동영상 나는 굴거야? 언니가 꺼내고 그냥 정리할 있었다.


하지만 보드게임 다빈치코드 앞으로 침대 같았다. 괜히 지금은 하하하. 쉽게


생전 것은 온라인바다이야기게임 는 않을 송. 순 목소리로 꿨어? 할텐가?


어쩌나 성큼성큼 박 아무 사람이 안에 쪽으로 pc 바다이야기 하는 수도 이제 채 그 언제 여러


현이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게임 사고요? 블랙으로 180도로 안으로 듣던대로 하고도 지구의


들어가지 향했다. 열쇠처럼 그런데 영악한 아들은 않았다. 인터넷 오션파라다이스 같이 없는 테리가 우리 필요하다고 타는 그런데


내 뿐인거다. 기댄 버스를 입고 명이나 하는 우주전함 야마토주소 난리 를 빼곡히 무언가를 끌어 같은 평사원


일이 아니다. 방문할 시선을 알 굳이 알 바다이야기사이트 게임 정말 난 건 아니야? 쳐주곤 사물함에 너를


입장에서 단장실을 있는 이 있는 대들보 오션파라다이스7 알겠지만 위에 살기 건 얘기하고 잠시 거구가


없었다. 자기소개가 같이 는 못하냔 잔에 세상에는 격투기게임 신경쓰지

>

문 대통령 국무회의 발언사진은 지난 4월 3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식민지와 분단, 전쟁과 가난을 넘어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향해 전진해 온 한국 역사의 물결을 만든 이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공개한 독일 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 기고문에서 "3·1독립운동 이후 100년의 시간 동안 한국인 모두가 위기마다 함께 행동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잘살고 싶지만 혼자만 잘살고 싶지는 않다', '자유롭고 싶지만 혼자 자유롭고 싶지는 않다'는 마음이 모여 역사의 힘찬 물결이 됐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100년 전 식민지의 억압과 차별에 맞서 싸웠던 평범한 사람들이 민주공화국의 시대를 열었다"며 "자유와 민주, 평화와 평등을 이루려는 열망은 100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뜨겁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기고문 전문이다.

『"평범함의 위대함"

- 새로운 세계질서를 생각하며

1. 광주

광주는 한국 현대사를 상징하는 도시입니다. 한국인들은 광주에 마음의 부채를 갖고 있으며, 지금도 많은 한국인이 광주를 생각하며 끊임없이 스스로 정의로운지 되묻고 있습니다.

1980년 봄, 한국은 대학생들의 민주화운동으로 뜨거웠습니다. 유신체제는 막을 내렸지만 신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해가고 있었습니다. 신군부는 쿠데타를 일으키고 비상계엄령을 발동해 정치인 체포와 정치활동 금지, 대학교 휴교령과 집회·시위금지, 언론보도 사전검열과 포고령 위반자 영장 없는 체포 등 가혹한 독재를 시작했습니다.

서울역에 모인 대학생들은 신군부의 무력진압을 우려해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이때 광주의 민주화 요구는 더 활활 불타올랐습니다. 공수부대를 투입한 신군부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학살을 자행했고, 국가폭력으로 수많은 시민이 사망했습니다. 5월 18일 떨어지기 시작한 광주의 꽃잎들은 5월 27일 공수부대의 도청진압으로 마지막 꽃잎마저 지게 되었습니다.

광주의 비극은 처절한 죽음들과 함께 막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한국인에게 두 개의 자각(自覺)과 한 개의 의무를 남겼습니다. 첫 번째 자각은 국가폭력에 맞선 사람들이 가장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는 것입니다. 폭력의 두려움을 이기고 용기를 낸 사람들은 노동자와 농민, 운전사와 종업원들, 고등학생들이었습니다. 사망자 대부분도 이들이었습니다.

두 번째 자각은, 국가의 폭력 앞에서도 시민들은 엄청난 자제력으로 질서를 유지했다는 것입니다. 항쟁의 기간동안 단 한 차례의 약탈이나 절도가 없었다는 것은 이후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자부심이며 동시에 행동지침이 되었습니다. 도덕적 행동이야말로 부정한 권력에 대항해 평범한 사람들이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위대한 행동이라는 것을 한국인들은 알고 있습니다. 도덕적 승리는 느려 보이지만 진실로 세상을 바꾸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남겨진 의무는 광주의 진실을 알리는 일이었습니다. 광주에 가해진 국가폭력을 폭로하고 감춰진 진실을 밝히는 것이 곧 한국의 민주화운동이었습니다. 저도 부산에서 변호사로 일하며 광주를 알리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많은 젊은이가 목숨을 바치고 끊임없이 광주를 되살려낸 끝에 한국의 민주주의는 찾아왔고 광주는 민주화의 성지가 되었습니다.

외로운 광주를 가장 먼저 세상에 알린 사람이 독일의 제1공영방송 일본 특파원이었던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였다는 사실이 매우 뜻깊습니다. 한국인들은 힌츠페터에게 감사하고 있습니다. 고인의 뜻에 따라 그의 유품이 2016년 5월, 광주의 5.18묘역에 안치되었습니다.

2. 촛불혁명, 다시 광주

제가 1980년의 광주 이야기를 되새긴 것은 지금의 광주를 이야기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2016년 혹독한 겨울 한파 속에서 이뤄진 한국의 촛불혁명은 '나라다운 나라'란 과연 무엇인가를 물으며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며 경제불평등과 양극화가 심화 되었습니다. 금융과 자본의 힘은 더 강해지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양산으로 노동환경은 악화되었습니다. 여기에, 특권계층의 부정부패는 국민의 상실감을 더욱 크게 만들었습니다. 급기야 한국의 남쪽 바다, 진도 맹골수도를 지나던 세월호에서 금쪽같은 아이들이 구조도 받지 못한 채 죽어갔고, 슬픔을 안은 채 한국의 국민들은 스스로 새로운 길을 찾아 나섰습니다.

촛불혁명은 부모와 자식들이 함께, 엄마와 유모차에 앉은 아이들이 함께, 학생과 선생님이 함께, 노동자와 기업인이 함께 광장의 차가운 바닥을 데우며 몇 개월 동안 전국에서 지속되었습니다. 단 한 번의 폭력사건 없이 한국의 국민들은 2017년 3월 헌법적 가치를 위반한 권력을 권좌에서 끌어내렸습니다. 가장 평범한 사람들이 가장 평화로운 방법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냈습니다. 1980년 광주가 2017년 촛불혁명으로 부활했던 것입니다. 저는 한국의 촛불혁명을 노래와 공연이 어우러진 '빛의 축제'로 묘사하며,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 의식을 보여줬다고 극찬한 독일 언론을 감사한 마음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한국 정부는 촛불혁명의 염원으로 탄생한 정부입니다. 저는 한시도 '정의로운 나라, 공정한 나라'를 원하는 국민의 뜻을 잊지 않고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공정하게 좋은 일자리에서 일하고, 정의로운 국가의 책임과 보호 아래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는 나라가 촛불혁명이 염원하는 나라라고 믿고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이 행복할 때, 한 나라의 지속가능한 발전도 가능합니다. 포용국가는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면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과 국가 전체가 함께 성장하고, 그 결실을 골고루 누리는 나라입니다.

한국은 지금 '혁신적 포용국가'를 지향하며 누구나 돈 걱정 없이 원하는 만큼 공부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꿈을 위해 달려가고, 노후에는 안락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나라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토대 위에서 이뤄지는 도전과 혁신이 민주주의를 지키고, 우리 경제를 혁신성장으로 이끌 것이라 확신하고 있습니다.

포용국가는 사회경제체제를 포용과 공정, 혁신의 체제로 바꾸는 대실험입니다. 한국에서는 고용 부문에서 더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노동자들이 더 나은 삶을 누리고 일한 만큼 정당한 대가를 받을 수 있도록,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을 사회적 합의를 통해 추진하고 있습니다. 청년의 일자리 예산을 확대하고, 퇴직 이후에도 삶을 책임질 수 있도록 중년의 재취업 훈련을 지원했습니다. 기초연금을 인상했고, 어르신 일자리 예산을 늘렸습니다.

경제 부문에서는 그간 한국경제의 대들보였던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혁신 창업·중소기업이 쑥쑥 커갈 수 있도록, 규제를 과감히 걷어내고 금융도 혁신친화적으로 바꿔가고 있습니다.

복지 부문에서는 생애주기에 맞춘 사회보장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의료보험의 보장범위를 확대하고, 아이를 마음 놓고 키울 수 있는 돌봄 서비스를 국가 차원에서 확충해가고 있습니다. 누구나 차별받지 않는 사회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종합대책을 세우고, 여성의 권익을 증진하는 한편 성차별에 단호히 대처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노동자들의 자녀와 다문화 가정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교육 부문에서는 입시경쟁과 암기식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성을 중시하는 혁신 교육으로 전환해 나갈 예정입니다.

그러나 익숙해진 관습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과정에는 갈등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해관계가 다른 사람들 사이에 대화하고, 조정하고, 타협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를 통해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것을 찾아가야 합니다. 대실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대타협이 동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한국은 식민지와 전쟁으로 폐허가 된 땅에서 불과 70여 년 만에 세계 11위 경제 대국이 되었습니다. 이런 성과를 우리는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면서 이뤄냈습니다. 농업에서 경공업, 중화학공업, 첨단 ICT에 이르기까지 그 어느 나라도 해내지 못한 엄청난 변화를 스스로 이뤄내며 2차 세계대전 후의 신생 독립 국가 중 유일하게 선진국으로 도약했습니다. 한국은 맨손에서 성공을 이룬 저력이 있습니다. 한국 국민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국민입니다.

이즈음 광주에서 의미 있는 사회적 대타협이 이뤄졌습니다. 적정임금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동자와 사용자, 민간과 정부가 각자의 이해를 떠나 5년이 넘게 머리를 맞댔습니다. 노동자는 일정 부분의 임금을 포기해야 했습니다. 사용자는 일자리를 보장하면서 노동자의 복지를 책임지는 가운데 비용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인간다운 삶을 지키고자 하는 민간의 요구가 강했고, 각종 법규를 조정하고 안정적인 기업운영을 지원해야 하는 정부 또한 타협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양보와 나눔으로 결국 대타협을 이뤘습니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만들어진 일자리를 '광주형 일자리'라고 부릅니다. 한국인들은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광주정신'이 이뤄낸 결과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민주화의 성지 광주가 사회적 대타협의 모범을 만들었고, 경제민주주의의 첫발을 내디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보다 성숙해진 한국 사회의 모습을 반영합니다.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속에서 노동자와 사용자, 지역이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지 보여주었습니다.

'광주형 일자리'는 '혁신적 포용국가'로 가는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 조금 느리게 보여도 사회적 합의를 이루면서 함께 전진하는 것이 모두에게 좋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조금씩 양보하면서 함께 가는 것이 결국은 빠른 길이란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1980년 5월의 광주가 민주주의의 촛불이 되었듯, '광주형 일자리'는 사회적 타협으로 새로운 시대의 희망을 보여주었고 포용국가의 노둣돌이 되었습니다.

포용은 평범함 속에서 위대함을 발견하는 일입니다. 평범함이 모여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는 일입니다. 한국 정부는 지금 '광주형 일자리'의 성공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독일은 포용과 혁신을 가장 이상적으로 구현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평화로운 방법으로 통일을 이뤄낸 역사와 포용과 혁신으로 사회통합을 이룬 사례는 우리에게 언제나 영감을 주었습니다. 한국의 광주도,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길 희망합니다.

3. 평범한 사람들의 세계

한국에서는 정확히 100년 전, 평범한 사람들의 힘이 모여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일제의 식민지배를 받던 사람들이 1919년 3월 1일부터 독립만세운동을 시작했습니다. 202만 명, 당시 인구의 10%가 참가한 대규모 항쟁이었습니다. 나무꾼, 기생, 맹인, 광부, 머슴,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이 앞장섰습니다.

한국에서 3.1독립운동이 중요한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이 운동을 통해 시민의식이 싹텄다는 것입니다. 국민주권과 자유와 평등, 평화를 향한 열망이 한 사람 한 사람의 삶 속으로 들어왔고 이를 통해 계층, 지역, 성별, 종교의 장벽을 뛰어넘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왕정의 백성에서 국민으로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세웠습니다.

임시정부는 일제에 대한 저항을 넘어 완전히 새로운 나라를 꿈꿨습니다. 1919년 4월 11일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을 공포하며 대한민국은 군주제가 아닌 민주공화국임을 명확히 밝혔습니다. 임시헌장 3조에서 "대한민국 인민은 남녀·귀천·빈부·계급을 막론하고 평등하다"고 명시했습니다. 여성을 포함한 모든 국민의 선거권과 피선거권도 보장했습니다. 당시 임시정부 구성에 참여했던 한국의 독립운동가 안창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과거에 황제는 한 명이었지만, 금일은 2000만 국민이 모두 황제입니다." 민주공화국에 대한 참으로 명쾌한 표현입니다.

임시정부는 27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망명지에서 식민지해방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전무후무한 사례입니다. 임시정부가 있었기에 열강들이 카이로선언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게 됩니다.

둘째는, 마음을 합하는 것처럼 큰 힘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서로를 믿으며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로 나아갔다는 것입니다. 당시 3.1독립운동에 참여했다가 일제의 감옥에 갇힌, 한국의 근대 소설가 심훈은 어머니에게 이런 내용의 편지를 보냈습니다.

"어머님! 우리가 천번 만번 기도를 올리기로서니 굳게 닫힌 옥문이 저절로 열려질리는 없겠지요. 우리가 아무리 목을 놓고 울며 부르짖어도 크나큰 소원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리도 없겠지요. 그러나 마음을 합하는 것처럼 큰 힘은 없습니다. 한데 뭉쳐 행동을 같이하는 것처럼 무서운 것은 없습니다. 우리들은 언제나 그 큰 힘을 믿고 있습니다."

한국의 근현대사는 도전의 역사였습니다. 식민지와 분단, 전쟁과 가난을 넘어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을 향해 전진해왔습니다. 그 역사의 물결을 만든 이는 평범한 사람들이었습니다. 3.1독립운동 이후 100년의 시간 동안 한국인 모두가 저마다의 가슴에 샘 하나씩을 품고 살아왔습니다. 위기마다 함께 행동했습니다. '잘살고 싶지만 혼자만 잘살고 싶지는 않다', '자유롭고 싶지만 혼자만 자유롭고 싶지는 않다'는 마음들이 모여 역사의 힘찬 물결이 되었습니다.

저는 민주주의가 제도나 국가 운영의 도구가 아니라 내재적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는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목소리를 냄으로써, 국민으로서의 권리,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찾을 수 있다고 여깁니다. 우리는 더 좋은 민주주의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존 듀이의 말처럼 민주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민주주의를 행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민주주의는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존중되고 보완되며 확장되고 있습니다. 제도적이고 형식적인 완성을 넘어 개인의 삶에서 일터, 사회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민주주의로 실천되고 있습니다. 평범함의 힘이고, 평범함이 쌓여 이룬 발전입니다.

100년 전 식민지의 억압과 차별에 맞서 싸웠던 평범한 사람들이 민주공화국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자유와 민주, 평화와 평등을 이루려는 열망은 100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뜨겁습니다. 나라가 나라답지 못할 때 3.1독립운동의 정신은 언제나 되살아났습니다.

4. 평범함을 위한 평화

동양에서는 "난세에 영웅이 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난세야말로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꾸려가지 못하는 시대입니다. 영웅은 탄생하지만 평범한 사람들은 불행에 빠지는 시대입니다.

중국의 고전 '사기'의 '손자오기열전'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人曰, 子卒也, 而將軍自吮其疽, 何哭爲" 사람들이 말하기를 "아들이 졸병인데 장군이 몸소 아들의 종기를 입으로 빨아주었소. 어째서 우는 것입니까?" 울 필요가 없는데 왜 우느냐는 뜻입니다. 어머니는 아들이 장군의 행동에 감격해 전쟁터에서 죽기살기로 싸우다가 죽을까봐 운 것입니다. '사기'에는 그 어머니의 남편 또한 똑같은 일을 겪고 죽기살기로 싸우다가 죽었다고 나옵니다.

'사기'의 저자 사마천은 장군 오기의 훌륭한 행동을 이야기하려는 것이지만, 이 이야기에는 남편을 잃은 부인의 안타까운 처지가 행간에 숨어있습니다. 우리가 좋아하는 영웅담에는 항상 스스로의 운명을 빼앗긴 평범한 사람들의 비극이 감춰져 있습니다.

한국 분단의 역사에도 평범한 사람들의 눈물과 피가 얼룩져있습니다. 분단은 개인의 삶과 생각을 반목으로 길들였습니다. 분단은 기득권을 지키는 방법으로, 정치적 반대자를 매장하는 방법으로, 특권과 반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이용됐습니다. 평범한 사람들은 분단이라는 '난세' 동안 자기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사상과 표현, 양심의 자유를 억압받았습니다. 자기검열을 당연시했고, 부조리에 익숙해졌습니다.

이 오래되고 모순된 상황을 바꿔보고자 하는 열망은 한국인들이 촛불을 들은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민주주의를 지켜냄으로써 평화를 불러오고자 했습니다. 촛불이 평화로 가는 길을 밝히지 않았다면 한국은 아직도 평화를 향해 한 걸음도 내딛지 못했을 것입니다. 촛불혁명의 영웅은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의 집단적 힘이었습니다. "난세에 영웅이 난다"는 동양의 옛말은 "평범한 힘이 난세를 극복한다"는 말로 바뀌어야 할 것입니다.

저는 계절이 변화하는 것처럼 인간사에도 과정이 있다고 믿습니다. 동ㆍ서독 간 철의 장막이 유럽을 관통하는 거대한 생명띠 '그뤼네스 반트'로 완전히 변모한 것처럼, 한반도의 평화가 동서를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DMZ)에만 머물지 않고 남북으로 뻗어 나가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시아, 유럽까지 번져나갈 것을 기대합니다. 한반도 전역에 걸쳐 오랜 시간 고착된 냉전적 갈등과 분열, 다툼의 체제가 근본적으로 해체되어 평화와 공존, 협력과 번영의 신질서로 대체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이것을 '新한반도 체제'라 이름 붙였습니다.

'新한반도 체제'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대전환을 의미합니다. 한반도는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이 충돌하는 단층선에 있습니다. 유럽의 발칸반도와 비슷합니다. 이로 인해 역사적으로 잦은 전쟁의 수난을 겪어왔습니다. 특히, 남한과 북한이 비무장지대를 경계로 나눠진 이후 한국은 사실상 대륙과의 연결이 가로막힌 '섬과 같은 존재'였습니다.

한반도에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것은 섬과 대륙을 연결하는 연륙교를 만드는 일입니다. 작년 4월 저는 판문점에서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습니다.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한국전쟁 이래 남한 땅으로 처음으로 넘어온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우리는 그곳에서 서로 간의 군사적 적대행위를 멈추자고 약속했습니다.

그 첫 번째 조치로 비무장지대의 초소 일부를 철수하고, 주변 지역의 지뢰제거 작업도 실시했습니다. 비무장지대 안에서 남과 북을 잇는 도로가 개설되었고, 13구의 유해도 발굴하여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던 중 작년 11월에는 각각 남쪽과 북쪽에서 출발한 군인들은 한국전쟁 마지막 격전지였던 화살머리 고지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서로 총구를 내린 채 서로 악수하며 뜻밖의 조우를 즐겼습니다. 정전협정 65년 만에 이렇게 비무장지대에 봄이 왔습니다.

한반도의 봄은 베를린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2000년 '베를린 선언'에 이어 다시 한번 2017년 7월, 촛불혁명의 열망을 담아 베를린에서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구상을 얘기했습니다.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은 단지 희망사항에 불과한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한반도의 겨울은 좀처럼 물러날 것 같지 않았고, 북한은 계속해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위기를 조성하고 있었습니다. 주변국들도 제재의 강도를 점차 높여가면서, '4월 위기설', '9월 위기설'이 돌았고 한국인들은 실제로 전쟁이 일어날까 염려했습니다.

빌리 브란트 전 총리는 "한 걸음도 나아가지 않는 것보다 작은 걸음이라도 나아가는 게 낫다"고 했습니다. 저의 생각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무언가 시작하지 않으면 국민들의 열망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작은 꿈을 꾸면, 타인의 마음을 움직일 힘이 없다'고 했던 괴테의 글을 떠올렸습니다. 겨울을 뚫고 봄의 새싹이 올라오려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라는 큰 꿈을 이야기해야 했습니다. 국민들과 함께 이룰 수 있는 큰 꿈이어야 했습니다.

북한은 2018년 1월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를 개선할 용의를 표했고, 한국의 큰 꿈에 화답해 왔습니다. 이어 평창동계올림픽의 참가 의사를 전달해왔습니다. 주변국들과 유럽의 국가들까지 한반도의 해빙에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었습니다. 한국의 국민들은 평창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만들어내기 위해 뜻을 모았습니다.

'베를린 선언'에서 저는 북한을 향해 "쉬운 일부터 하자"고 하며 4가지를 제시했습니다. 평창올림픽 참가, 이산가족 상봉, 남북한 상호 적대행위 중단 그리고 남북 간 대화와 접촉을 재개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놀랍게도 이 4가지는 2년이 지난 지금 모두 현실이 되었습니다. 작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 대표선수단은 세계인들이 보는 앞에서 한반도기를 들고 공동 입장했습니다. 이산가족들이 다시 만났고 이제 언제든지 화상상봉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반도의 하늘과 바다, 땅에서 총성은 사라졌습니다. 우리는 북한 땅 개성에 연락사무소를 개소하면서 일상적으로 서로가 대화하고 접촉하는 통로를 만들었습니다. 한반도의 봄이 이렇게 성큼 다가왔습니다.

그동안 제가 안타깝게 생각했던 일은 한국의 국민들이 휴전선 그 너머를 더 이상 상상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한반도에서 남과 북이 화해하고, 철도를 깔고, 물류를 이동시키고, 사람을 오가게 한다면, 한국은 '섬'이 아닌 해양에서 대륙으로 진출하는 교두보, 대륙에서 해양으로 나아가는 관문이 됩니다. 평범한 사람들의 상상력이 넓어진다는 것은 곧 이념에서 해방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국민들의 상상력도, 삶의 영역도, 생각의 범위도 훨씬 더 넓어져서 그동안 아프게 감내해야 했던 분단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남북의 문제는 이념과 정치로 악용되어서는 안 되며, 평범한 국민의 생명과 생존의 문제로 확장해야 합니다. 남과 북은 함께 살아야 할 '생명공동체'입니다. 사람이 오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병충해가 발생하고 산불이 일어납니다. 보이지 않는 바다 위의 경계는 조업권을 위협하거나 예상치 못한 국경의 침범으로 어민들의 운명을 바꾸기도 합니다. 이 모든 것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일이 바로 항구적 평화입니다.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평화를 넘어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위한 평화입니다.

'新한반도 체제'는 수동적인 냉전질서에서 능동적인 평화질서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과거 한국 국민은 일제 강점과 냉전으로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평범한 사람들이 자기 운명의 주인이 되는 일입니다.

한반도와 동북아의 기존질서는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동시에 동북아에 심어진 '냉전 구조'와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후처리 과정에서 한국인들의 의사와 다르게 분단이 결정되었고, 비극적 전쟁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때 한미일의 남방 3각 구도와 이에 대응하는 북중러의 북방 3각 구도가 암묵적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냉전구도는 1970년대 데탕트와 1990년대 구소련 해체, 중국의 시장경제 도입으로 상당부분 해소되었지만, 아직 한반도에서만은 그대로입니다. 남북한은 분단되어 있고, 북한은 미국, 일본과 정상적 수교관계를 맺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은 작년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을 통해 서로 간의 적대행위 종식을 선언함으로써 항구적 평화정착의 첫 번째 단추를 채웠습니다. 동시에 북한과 미국은 비핵화 문제와 함께 관계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북미대화가 완전한 비핵화와 북미수교를 이뤄내고 한국전쟁 정전협정이 평화협정으로 완전히 대체된다면 비로소 냉전체계는 무너지고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체계가 들어설 것입니다

평화는 또한 함께 잘사는 나라로 가

이름 패스워드
☞특수문자
hi
왼쪽의 글자를 입력하세요.